정전기 재해방지

  • 이황화탄소의 수송 과정에서 배관 내의 유속을 1m/s 이상으로 한다.
  • 포장 과정에서 용기를 도전성 재료에 접지한다.
  • 인쇄 과정에서 도포량을 소량으로 하고 접지한다.
  • 작업장의 습도를 높여 전하가 제거되기 쉽게 한다.

누전차단기 시설

  • 한국전기설비규정에 따라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있는 곳에 금속제 외함을 가지는 저압의 기계기구가 시설되어 있다. 이 기계기구의 사용전압이 60V를 초과할 때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에 누전차단기를 시설 해야한다

방폭설비의보호등급

  • 제1 특성 숫자가 “1”인 경우 지름 50mm 이상의 외부 분진에 대한 보호

정전기 발생 요인

  • 물체의 분리속도가 빠를수록 발생량은 많아진다.
  • 접촉면적이 크고 접촉압력이 높을수록 발생량이 많아진다.
  • 물체 표면이 수분이나 기름으로 오염되면 산화 및 부식에 의해 발생량이 많아진다.
  • 정전기의 발생은 처음 접촉, 분리할 때가 최대로 되고 접촉, 분리가 반복됨에 따라 발생량은 감소한다.

+ Recent posts